본문 바로가기

주식 기초 용어 알아보기 PBR 주당순자산비율

경제정보 by 나의정보 2025. 1. 30.
반응형

주식기초 용어 두번째 시간으로

오늘은 PBR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BR
주당순자산비율
Price-to-Book Ratio

 

PBR

PBR(Price-to-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은 기업의 주가가 그 기업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대비 얼마나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주로 기업의 장부가치(book value)와 주가를 비교하여 기업의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PBR

PBR은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서 1주당 몇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수치가 낮을수록 해당기업의 가치가 저평가 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PBR이 1미만이면 주가가 순자산가치에도 못 미친다는 뜻입니다.
 PER은 기업의 수익성부분을  주가로 평가한다면 PBR은 기업의 재무상태부분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PBR의 해석

PBR이 1보다 높으면: 기업의 주가가 장부가치보다 높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시장이 해당 기업의 성장 잠재력이나 기타 비재무적 요소를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반대로, PBR이 낮다는 것은 시장에서 해당 기업의 자산에 비해 주가가 과대평가되었을 가능성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PBR이 1보다 낮으면: 주가가 기업의 장부가치보다 낮다는 의미로, 기업이 시장에서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이 경우, 기업의 자산이나 수익성이 불확실하거나 악화된 경우일 수도 있기 때문에 추가 분석이 필요합니다.

PBR 활용법:

  1. 업종별 비교: 같은 업종 내 다른 기업들과 PBR을 비교하여 상대적인 저평가 혹은 고평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PBR의 의미: PBR이 1보다 낮다면 기업이 자산의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싸게 거래되고 있을 수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를 단순히 "저평가"로 해석하기보다는 해당 기업의 재무 상태나 시장의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3. 지속 가능성: PBR이 높은 기업이 반드시 좋은 기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높은 PBR은 높은 미래 성장성을 기대하는 시장의 평가일 수 있으므로, 기업의 실제 성장성과 맞물려 판단해야 합니다.

 

주가가 100,000원이고, **주당순자산가치(BVPS)**가 50,000원인 경우:

이 기업은 장부가치 대비 2배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셈입니다.

PBR은 주로 자산을 기반으로 한 분석에 유용하지만, 기업의 수익성, 성장성, 시장 상황 등을 함께 고려해야 보다 정확한 투자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주식기초 용어 알아보기  (EPS , PER)

 

주식 기초 용어 알아보기 EPS PER

주식 기초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저는 주식을 20년 가까이 해오면서 기본적인 용어정도는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EPS주당순수익 Earnings Per Share   EPS는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nesarlim.com

 

 

이상 주식기초용어 두번째 시간도 마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