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당순자산비율을 뜻하는
PE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PBR(주가순자산비율)이라는 지표를 사용합니다
주식투자자라면 PBR이라는 용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PER과 더불어 주식투자지표 중 많이 활용되는 지표입니다.
PBR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PBR(Price Book-value Ratio) 이란 무엇인가요?
PBR은 주가순자산비율 혹은 주가순자산배율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기업의 순자산 대비 시가총액 비율을 의미합니다.
해당 기업의 자산가치대비 현재 시장가격이 몇 배인지 나타내는 수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A기업의 자본총계가 100억 원이고 B기업의 자본총계가 200억 원이라면
A기업의 PBR은 1배가 되고 B기업의 PBR은 2배가 됩니다.
이는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입니다
즉 현재 주가가 주당 순자산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면 어떤 기업의 시가총액이 100억 원이고 총자산이 500억 원이라면 PBR은 2배가 됩니다.
PBR이 1배 미만이면 현재주가는 장부상 순자산가치에도 못 미친다는 뜻이며,
반대로 PBR이 1 이상이면 주가가 자산가치보다 높다는 의미입니다.
PBR 왜 중요할까요?
PER만큼이나 자주 쓰이는 대표적인 투자지표이지만 의외로 많은 분들이 잘 모르고 계십니다.
저 또한 그랬습니다.
우선 PBR은 회사의 청산하는 가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내가 산 종목의 가치가 PBR이 0.5배 수준이라면 지금 당장 망해도 본전이라는 말이 됩니다.
반대로 말을 하면
아무리 성장성이 좋고 미래전망이 밝다고 하더라도
이미 고평가 되어있다면 매수하면 안 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물론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지만
최소한 안전마진 확보 측면에서 충분하게 고려해 볼 만한 사항이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PBR이 1 미만이면 무조건 좋을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기업은 매년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하면서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했습니다.
그리고
최근 몇 년간 실적이 좋아지면서 순이익이 증가했고,
이를 주주들에게 환원하고자 10%의 배당성향을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배당금을 늘려왔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A기업은 매우 매력적인 회사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만약 B라는 경쟁사가 등장하게 된다면 어떨까요?
당장 매출액에서는 큰 차이가 없겠지만,
앞으로의 잠재성장성이 높은 B회사에게는 향후 2~3년 후엔 분명 추월당할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지금 당장 눈에 보이는 수치만으로 판단하면 안 됩니다.
기업의 가치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가장 쉬운 방법은 재무제표를 보는 것입니다.
재무상태표상 부채총계와 자본총계를 비교하면 해당 기업의 청산가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기업의 재무제표를 일일이 다 살펴볼 수 없으므로 PER과 ROE 등 다른 지표들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모든 지표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다만 추천드리는 방법은 각 산업별로 대표되는 종목들을 선정을 하고 재무제표를 보면서 PER/PBR 등 여러 가지 지표들을 비교해야 합니다.
다른 글에 지표들도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냥 공부를 해야 합니다.
물론 처음에는 쉽지 않을 겁니다.
저도 어렵습니다.
아직 주린이 수준입니다.
하지만 계속하다 보면 점점 보는 눈이 생길 겁니다.
최종적으로 마음에 드는 종목을 선택하셨다면 매수하시기 바랍니다.
꼭! 장기투자 관점에서 접근하시기 바랍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특례상장제도 의미와 유니콘특례상장이란? 상장조건,장단점 (0) | 2023.06.02 |
---|---|
주식기초용어_EPS 주당순이익 계산법 알아보기 (0) | 2023.05.30 |
주식용어 PER 주가수익비율 알아보기 (고평가된PER에 투자? 저평가된 PER에 투자?) (0) | 2023.05.28 |
천지창조 1-3 (0) | 2023.04.03 |
천지창조1-2 북유럽신화 (0) | 2023.04.02 |